빅데이터 2

5. 정보관리기술사 10개월 단기 합격 비결 - 1편 답안 편

2023년 4월에 학원을 등록해 2024년 2월 1차 필기시험 합격통지를 받았습니다. 전체 기간으로 따지면 1년이 좀 넘지만 보통 단기합격은 1차 필기시험을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이렇게 제 노하우를 남깁니다. 1. 왜 오래 공부하게 되는가?이 시험의 핵심은 답안입니다. 결국에 답안에 표현을 잘 못하면 떨어집니다. 기술사 공부를 오래 하다보면 기술에 매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다보면 너무나도 공부하는게 재밌는 시험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같이 공부하는 분들도 가르쳐 드리고 회사에서도 공부한걸 적용하다보면 글자로 보였던 기술들이 몸에 체득이 되는 단계가 됩니다. 그럼 빨리 붙을까요? 답은 아닙니다.내가 알고 있는 이 지식을 "채점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채점이 잘되도록 답안에 쓰기"를 해야 합격합니다. 그렇다면..

2020년 4차 산업혁명 흥하고 있는가? - 1편 산업현장의 빅데이터

2016년 세계 경제 포럼에서 나온 4차 산업혁명이 나오고 4년이 지났습니다. 2020년, 4차 산업혁명은 흥하고 있는 걸까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고 말하는 기술인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무인항공기, 3D 프린팅 나노 기술등은 과연 지난 4년간 어떻게 우리 산업현장에 적용되었을까요. 저는 이 기술중에 빅데이터 부분에 대해 말해볼까 합니다. 지금 말씀드리는 내용은 GE디지털의 알렉산더 로스의 말을 인용하겠습니다. OPCUA 서버를 구축하고 데이터 수집을 의뢰한 회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수집을 하다보니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GE의 제품인 Historian을 통해 RTDB에 데이터는 끝도 없이 쌓이는데 사용을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알렉산더 로스는 부채라고 말합니다. 빅..

IT 지식/잡담 2020.02.12